Curriculum 교육과정

교과목 개요

전공필수

  • 고전문학의이해(understanding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고전문학의 각 장르를 개괄적으로 검토하고 대표 작품들을 강독, 분석함으로써 고전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며 고전문학이 현대문학과 어떻게 접맥될 수 있는가를 파악한다.  
  • 희곡시나리오선독(Reading Scenario and drama) 
    드라마와 시나리오 대본을 중심으로 드라마에 대한 기본소양을 익히고 이론 및 공연을 통한 확장 가능성에 대해 이해한다. 특히 연극과 영화의 대본인 시나리오와 드라마를 분석하고 대화를 통한 성격구축 및 갈등의 양상을 통해 시청각적 확장을 통한 문학의 변화가능성을 습득한다. 이를 통해 추후 연계되는 드라마 수업의 토대를 공고히 하며 현대적인 미디어와의 문학적 접점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작품의 읽기를 통한 이해와 감상의 폭을 심화시키고 현대문학의 양상에 대해 고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이야기와소설의이해(Understanding of story and novel ) 
    개화기 이후 한국의 대표적인 현대소설을 다양한 분석 방법으로 깊이 있게 감상하고 분석함으로써 한국 현대소설에 대한 지식과 이해력을 함양한다. 이러한 교과 목표는 작가와 시대, 그리고 작품의 미학적 특질에 대한 학습을 통해 이루어진다. 
  • 문학과문화(Literature and Culture) 
    대중의 욕망과 현실을 반영한 다양한 종류의 글을 읽고, 다양한 매체로 표현된 문화와의 상관성을 살핌으로써 문학이 언어라는 매체로 표현된 문화의 하나임을 이해하고, 다매체 시대의 문학이 나아가야 할 바를 모색한다.  
  • 현대문학의기초(Foundation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문학 일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시, 소설, 희곡, 비평 등 다양한 장르를 공부한다. 그리고 동서양의 명작들을 읽고 분석하여 감상하는 연습을 통해 작품해석능력, 문학에 대한 안목과 창작에 대한 관심을 높인다. 
  • 시창작의이해(Understanding Poetry Writing) 
    현대시 명작과 창작이론 텍스트를 바탕으로 시의 발상과 표현, 창작기법 등을 이론과 실제를 통해 학습한다. 이를 통해 21세기 현대 사회에 요구되는 상상력과 창의력, 개성적인 언어표현 능력을 배양한다.  

전공선택

  • 국어학개론(Introduction to Korean Linguistics) 
    국어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및 국어사 등 국어학의 기본적인 영역을 통해 한국어의 핵심적인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기본 개념과 원리를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현대시읽기(Reading of Korean Contemporary Poetry) 
    한국 현대시의 다양한 시적 주제와 방법을 정립해 가는 1910년대부터 1945년까지의 대표작을 읽음으로써 한국 현대시의 발생과 전개 과정을 이해하고 시 작품의 감상 능력을 함양한다.  
  • 고소설론(Theory of Classical Korean Fiction) 
    고전소설의 개념과 범위, 장르적 성격, 발생 및 전개과정, 판본, 유통방식, 유형·구조·주제 등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여 고전소설의 구조적·미학적 특징을 이해하고 현대소설과의 관계를 탐색한다.  
  • 고전작가론(Classical Korean authors) 
    대표적인 고전문학 작가의 생애와 사상, 학문적 성향, 문학 사상 등을 포괄적으로 살펴 이들의 문학작품을 엄정하고 객관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 그리고 선사시대부터 근대전환기에 이르기까지 우리 선인들이 문학에 관해 어떤 논의를 펼쳤고, 그것이 시대를 따라 어떻게 변모되어 왔는가를 통시적으로 이해하여, 한국문학사에서 문학사상사가 차지하고 있는 위상과 의의를 분명히 이해한다.  
  • 시창작연습(Poetry Writing Exercise) 
    주어진 시 작품에 대한 분석과 비평을 통해 재해석적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준거로 나와 타인의 작품관과 작품성을 비교 검토한다.  
  • 현대소설론(Theory of Modern Nove) 
    소설의 본질, 특성은 무엇이며, 그 구조는 어떠한 것인가를 터득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학생들이 문외한의 수준에서 벗어나 소설에서 인생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해 내려는 진지한 독자가 되게 하고자 한다. 
  • 희곡론(Drama Theory) 
    현대 국문학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희곡의 일반적인 구조 원리와 역사성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희곡의 내적구조 및 원리에 대해 이해한다. 특히 희곡 전반에 걸친 이론적 배경과 원리를 학습하여 희곡이 지닌 문학사적 가치를 깨닫는다. 희곡의 특수성 및 연구방법을 발견하고 희곡의 해석과 문학적 가치를 규명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문학과광고(Literature and Advertisement) 
    문학과 광고는 발상에서 압축적인 표현방법론에 이르기까지 많은 동질성을 지니고 있다. 시와 광고 카피, 이미지와 영상, 광고 속의 문학기법 등의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창의성을 기르고 디지털 문화시대에 부응하는 미디어 문학의 실제를 학습한다.  
  • 출판편집론특강(Theory of Publishing and Editing Special lecture) 
    원고의 수집, 편집, 제작 등 편집출판의 전 과정을 이해하고, 출판문화의 바람직한 방향과 제도적 방안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추도록 한다. 
  • 한국현대작가연구(Study of Korean Modern Writers) 
    주요 현대 소설작가들의 생애와 작품의 관계, 작품의 미학적 특질과 사회와 작품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분석과 이해, 평가가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주요 한국 현대 소설가들의 작품 세계를 기초로 하여 그들 세계를 관통하는 문학사의 흐름을 귀납적으로 밝힌다.  
  • 문학비평의이론과실제(Theory and Practice of Literary Criticism) 
    문학비평이론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을 바탕으로 문학 작품에 대한 구조적 분석과 비평 쓰기의 과제를 학습하고 그 실제적 연습을 시도함으로써 문학 비평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목표로 한다.  
  • 고전문학사의이해(Understanding Classical Literary History) 
    고전문학 각 장르의 발생, 발전, 변천, 소멸 및 문학담당 층의 변모과정, 형식, 내용적 특성을 개괄적으로 살펴 한국문학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통시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 한국근대소설탐구(Study of Modern Korean Novels) 
    1910년대부터 식민지 시기, 해방과 1950년대를 거쳐 1960년대까지 이르는 기간 동안의 대표적인 소설을 다양한 분석 방법으로 깊이 있게 감상하고 분석함으로써 한국 현대소설에 대한 지식과 이해력을 함양한다. 
  • 한국근대문학사의이해(Understanding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갑오경장 이후부터 해방 이전까지의 우리 한국 문학의 변천 과정을 역사적으로 정리하여 과거 문학의 직접물로서 사적 기록이라 할 수 있는 근대문학의 특징, 전통, 외국 문학과의 관련, 사조의 개략 등을 정확히 이해하고 근대문학의 이론을 체계화하는 데 도움을 주게 된다. 
  • 서사텍스트해석과변형(Interpretation and Deformation of Narrative Text) 
    현대 서사에 있어서 서사 간의 융합적 교섭, 변용에 대한 이해 및 창의적 해석을 다양한 텍스트를 통해 학습한다. 주요 학습 내용은 고전 서사와 현대 서사 텍스트의 교섭, 소설과 시, 소설과 영화 등 장르와 양식 간에 이루어지는 텍스트의 창의적 해석과 변용에 대한 학습과 이해 등이다. 이를 통해 기존의 텍스트 이해 수준을 함양하고 새로운 창의적 해석 능력을 키워나간다. 
  • 스피치의구성과실제(Realization and composition of speech ) 
    한국어문학도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부문은 올바른 글쓰기와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실제 사회에 나아가 활용할 수 있고 또한 사회가 요구하는 자질이자 조건이기도 하다. 자기 소개서를 비롯, 보고서 및 리포트 등 다양한 서사적 글쓰기의 학습 및 연습, 그리고 다양한 방법을 통한 프레젠테이션의 활용을 통해 사회가 요구하는 국문학도로서의 능력을 함양한다. 
  • 한국현대문학사의이해(Understanding the History of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해방 이후부터 오늘날까지의 한국 문학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각 시대의 의미를 정리하여, 현대문학의 특징과 작가, 시대적 의미 등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한국문학사의 체계와 흐름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문학과영상예술(Literature and visual arts) 
    문학과 영상 예술의 상호텍스트성을 기반으로 영상문학, 디지털 스토리텔링, 문예영화, 멜로드라마 등 문학과 교섭하는 영상예술 전반의 특징을 이해하고 공부한다. 
  • 드라마창작과방법(Drama Creation and Method) 
    문학의 한 갈래인 드라마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스스로 창작을 통해 생성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고, 자신이 구축한 드라마의 세계를 만들어본다. 이를 통해 드라마에 대한 활용 및 응용하는 방법과 연습을 통해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드라마 공부를 시도한다. 결국 문학을 통한 구체적인 사회와 세계의 구조를 재구성하고 학생 스스로의 상상력을 확장하고 외부와 소통의 방법을 깨닫는다 
  • 스토리텔링과플롯(Storytelling and plot) 
    서사문학의 기본이 되는 이야기구조에 대해 탐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사의 전체적인 구조의 틀과 원리를 학습한다. 특히 플롯을 통한 다양한 구성적 변화를 통해 하나의 이야기가 다양하게 확대되는 것을 이해한다. 또한 서사작품의 구조와 내적 원리에 대해 탐구하며, 이를 응용하여 학생 스스로 서사문학에 대해 탐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고전산문읽기(Reading Korean Classical Prose) 
    한자 유입 이후부터 19세기 말까지 창작된 고전산문 가운데 국문산문과 한문산문의 대표적인 작품 들을 갈래별로 선별하여 강독함으로써 고전산문에 대한 독해 능력을 향상시키고 고전산문의 내용, 형식, 미학적 특징 등을 스스로 파악할 수 있는 안목을 길러준다.  
  • 스토리텔링의이해(Understanding Storytelling ) 
    창의적 글쓰기로서의 문예창작과 문화 콘텐츠의 기초가 되는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유형, 구성요소와 특성 등을 학습한다. 관찰과 체험, 상상력을 매개로 세계와 사물에 대한 시야를 넓히고 삶에 기초한 창작 능력을 키운다.  
  • 캡스톤디자인(문화콘텐츠연습)(Capstone Design(Culture Contents Practice) 
    이 과목은 한국 문학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문화적인 생산물을 기획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문제해결중심 학습법에 따라 지역의 현안을 탐사하고 문제를 발굴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인문콘텐츠를 생산하는 작업을 한다 
  • 캡스톤디자인(부산의삶과문학)(Capstone Design(Life and Writing in Busan)) 
    부산을 배경으로 하는 다양한 글을 읽고 삶의 터전을 관찰·기록함으로써 장소 회복을 위한 문학의 역할을 실천하고, 디지털 시대 문학의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한다.  
  • 구비문학론(키스톤디자인)(Theory of oral literature(Keystone Design)) 
    구비문학의 개념, 하위 장르별 특징, 민중의식의 수용양상, 기록문학과의 관계 등을 면밀히 살펴 구비문학의 독자성과 민족문학의 원류로서의 가치를 이해하게 한다.  
  • 현대시와주제학(키스톤디자인)(Modern poetry and subject matter(Keystone Design)) 
    한국 문학의 주요 모티프들을 중심으로 1950년대 이후~현재까지 현대시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문학적 모티프의 시대적 변용을 이해하고 적용하며, 문학과 사회, 역사와의 관계를 능동적으로 해석한다.  
  • 방송구성작가실습(키스톤디자인)(Practice of composing a broadcasting and media(Keystone Design)) 
    방송 현장의 프로그램 구성이론을 학습하고 실제 방송 현장 실습과 경험을 통해 구성작가 실무능력을 향상시키는 체험적이고 이론적인 바탕을 쌓는 교육이 되도록 한다. 특히 미디어의 속성과 본질에 대해 탐구하고 이를 응용하는 연습을 시도한다. 방송의 환경을 통해 문학과 방송의 연결점을 스스로 발견하고 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