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iculum 교육과정

교과목 개요

전공필수

  • 문헌정보학개론(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이 강좌의 목표는 문헌정보학에 입문한 학생들이 향후 전공 지식을 체계적으로 쌓아 가는데 필요한 안목을 갖추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성격과 체계 그리고 영역에 대한 소개는 물론, 문헌정보학이 지향하는 목적과 가치, 철학과 사상, 그리고 역사적 뿌리와 근자의 변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학문 전반에 대해 폭넓게 논의한다. 
  • 정보검색이론(Information Storage&Retrieval) 
  • 정보검색시스템의 구성요소, 모델, 구조, 어휘통제, 탐색전략, 평가방법을 포함하여 정보검색시스템의 기본원리를 다룬다. 
  • 정보학개론(Introduction to Information Science) 
    정보학 분야의 기초과목으로서 정보의 정의, 정보학의 범위, 학술정보 생산과 유통, 검색방법,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에 이르기까지 정보학과 관련된 모든 주제를 전반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 정보문화사(Cultural History of Information) 
    이 강좌의 목표는 인류문화사를 정보의 관점에서 조망한다. 구체적으로 인류의 지식발달사에 기여한 도서관의 생성과 발전과정을 이해하며 정보기술과 기록매체의 변천과정을 살펴본다. 
  • 문헌목록학I(Cataloging of Inf. Materials I) 
    목록학의 역사와 이론을 탐구하고 KCR, AACR, ISBD 등 목록 관련 규칙의 사용법을 강의한다. 
  • 문헌분류론(Classification of Inf.Masterials) 
    분류의 철학적 논리적 개념을 정립하고, KDC, DDC, UDC등 다양한 문헌분류표의 사용법을 강의한다. 

전공선택

  • 도서관한문읽기(Reading in Library Chinese) 
    이 교과목은 한국 및 중국 고서적의 내용 분석과 자료조직에 적용하고, 이들 문헌의 서비스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 한문의 읽기와 해석 능력을 갖추게 한다. 
  • 디지털도서관론(Digital Libraries) 
    디지털 도서관의 개념 및 디지털 도서관 구축에 필요한 기술적인 요소들을 공부하고 현재 실 운용중인 디지털 도서관의 몇몇 사례들과 디지털 도서관 경향 및 최근 이슈들을 다룬다. 
  • 온라인정보검색론(Online Information Retrieval Theory) 
    온라인정보검색론은 도서관의 OPAC, 전자저널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도서관 외부의 웹 기반의 다양한 전자정보원에 대한 지식과 실무를 포함한다. 학생들은 온라인검색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효율적인 검색결과를 위해 온라인 검색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검색기법과 검색결과를 분석·정리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익힌다. 
  • 도서관경영론(Library Management) 
    도서관 경영은 일반적인 경영활동 뿐만 아니라 도서관의 지적 자유를 기반으로 일반인들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고도의 작업이기도 하다. 본 과정에서는 도서관 자원을 입수하고 관리하는 전 과정에 대한 계획 및 실행, 시설의 유지, 새로운 서비스 프로그램의 설계, 예산의 마련과 운영 등의 다양한 개념에 대해서 익히게 된다. 
  • 독서지도론(Reading Guidance)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시기별 독서 자료와 독서 지도 방법, 독해력, 속독법 등의 독서기술 지도 방법, 독서 문제아의 치료적 지도 방법 등에 대하여 다룬다. 
  • 문헌목록학II(Cataloging of Inf. Materials II) 
    주제명 표목, 도서기호법 등 목록 작성에 관련되는 부수적인 규칙을 탐구하고, 편목작업을 실습한다. 
  • 문헌정보학특강(Seminar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문헌정보학에 관련된 교과목들을 연계하고 이 분야에서 새로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논제를 선택하여 다룬다. 
  • 자동화목록법(Machine Readable Cataloging) 
    자동화목록의 발전과정과 MARC 포맷의 구조를 탐구하고, 컴퓨터를 이용한 편목작업과 목록시스템의 관리를 실습한다. 
  • 정보봉사론(Information Service) 
  • 도서관을 비롯한 정보유통기관에서의 정보봉사를 실시하기 위한 기초적인 이론과 기법에 대해 배운다. 구체적으로 정보서비스의 유형과 내용, 절차와 과정, 평가와 관리를 다룬다. 
  • 학교도서관미디어센터(School Library Media Centers) 
    학교도서관미디어센터 운영에 필요한 역사, 조직, 인사, 시설, 자료, 봉사프로그램 등을 살펴봄으로써 사서교사 및 매체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습득하도록 한다. 
  • 한국서지학(Bibliographies of Korea) 
    서지학개론에서 익힌 기초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 고서의 감정, 인쇄 등 주로 형태서지학의 측면을 자세히 다룬다. 
  • 장서개발및관리(Collection Development&Management)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적합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균형있는 장서개발 및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장서, 장서개발, 장서관리의 개념, 이용자연구, 장서개발정책, 장서기준, 선택이론, 자료의 평가, 출판사, 전자자료, 등 각종 자료의 선택 및 관리, 수서업무, 장서평가 및 폐기, 정보자원의 공유를 다룬다. 
  • 자료조직특강(Seminar in Library Material Organization) 
    도서관 자료조직에 관련된 교과목들을 연계하고 이 분야에서 새로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논제를 선택하여 다룬다. 
  • 정보매체론(Information Media) 
    각종 교과의 수업과 관련된 학교 도서관 정보매체의 관리와 조직을 다룬다. 이들 정보매체를 교수 매체로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함과 동시에 도서관 활용 수업, 정보 활용 교육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케 한다. 
  • 기록관리개론(Records Management) 
    문서의 생산, 정리, 보존 그리고 보존을 위한 시설을 탐구한다. 기록물의 가치와 보존의 중요성 그리고 관련 법규를 다룬다. 
  • 데이터베이스론(Database) 
    데이터베이스는 정보사회에서 정보를 축적하는 방식이자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데이터베이스의 기본적인 개념인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관계데이터모델, 정규화, 관계대수와 관계연산자, SQL 등을 다룬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데이터베이스를 설계 및 구축할 수 있는 지식과 실무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 정보시스템개발론(Design of Information Systems) 
    정보시스템개발론은 정보시스템의 기초 이론과 개발 전반에 걸친 절차적 과정을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정보시스템 개발시 요구되는 방법과 기법 등을 논리적으로 학습하고, 정보센터 및 도서관 현장에서 정보시스템 분석 및 설계시 요구되는 실무를 다룬다. 
  • 관종별도서관(Management of Types of Libraries(Field Study)) 
    이 강좌의 목적은 다양한 관종별 도서관의 특징을 이해하고, 도서관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것에 있다. 본 강좌에서 다루는 도서관은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전문도서관, 학교도서관등으로 각각의 도서관의 특징을 살펴보고 운영을 위한 이론과 실무를 학습한다. 
  • 사서실습(Field Work) 
    이미 수강한 전공 교과목들을 종합하여 도서관 현장과 기타 문헌정보 관련기관의 현장에서 사서 실무를 경험 및 숙지하게 하며, 사서로서 실무 능력을 갖게 한다. 
  • 도서관홍보론(Library Public Relations) 
    본 강좌에서는 도서관을 홍보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 대해 학습하게 된다. 도서관의 전통적인 홍보 방법 뿐 아니라 디지털환경에서의 도서관 홍보 도구 및 방법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 정보이용자론(Users of Library and Information) 
    효율적인 정보봉사를 위하여 정보이용자를 조사하는 방법을 배운다. 구체적으로 정보이용자 연구의 목적, 의미, 역사, 연구방법을 다룬다. 또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효율적인 정보활용교육방법을 다룬다. 
  • 독서활용교육론(Reading Assisted Education) 
    독서는 복합적인 사고과정을 수반한다. 본 과정에서는 다양한 독서지도 방법에 대해 탐구한다. 특히 본 교과에서는 독서전략의 7가지 방법, 즉 추론 및 예측하기, 개념화, 질문형성, 사전지식활성화, 요약, 평가, 비교분석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배우게 된다. 
  • 정보사회와저작권(Copyright and the Information Society) 
    이 강좌의 목표는 정보사회에서 도서관의 가치와 전문직의 정체성과 관련한 윤리의식을 함양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사회의 개념 및 특징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평등한 접근권, 지적 자유, 개인정보보호, 저작물 공정 이용 등에 대한 내용을 심층적으로 다룬다. 특히, 저작권의 역사, 적용범위, 권리, 발생과 소멸, 도서관에서의 저작권 침해와 관련된 제 문제들을 강의한다. 
  • 정보조사분석론(Research&Analysis in LIS) 
    정보전문가로써 사서는 적절한 조사방법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이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적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본 교과에서는 사서가 익혀야 할 각종 데이터 조사방법과 분석법에 대해서 익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계량 정보학과 빅데이터 분석 등이 다루어진다. 
  • 메타데이터론(Theories and Practice in Metadata) 
    이 강좌의 목표는 메타데이터와 관련한 기본 개념을 숙지하고 도서관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한 실무능력을 배양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메타데이터의 개념, 유형, 기능, 특징에 대한 소개는 물론, 메타데이터 생성을 위한 방법론에 대해 다룬다. 나아가 최근 개발된 메타데이터의 개발현황을 살피고, 도서관 및 정보센터에서 메타데이터의 적용 조건과 관련 문제점에 대해 논의한다. 
  • 캡스톤디자인(Capstone Design in LIS) 
    캡스톤디자인은 문헌정보학 현장의 다양한 문제의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교과목이다. 학생들은 팀을 구성하여 현장의 실제 문제들에 대해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프로토타입으로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이 교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현장적응력과 문제해결능력을 기른다. 
  • 디지털출판(캡스톤디자인)(Digital Publishing(Capstone Design)) 
    디지털출판은 데스크탑 출판, 웹 출판,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등의 디지털 형태로 출판하는 모든 활동을 지칭한다. 본 교과에서는 디지털출판의 개념과 발전 및 체계, 관련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디지털출판의 실제를 경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디지털출판을 위한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콘텐츠 편집기술 및 제작시스템을 경험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