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 교과과정이란?
- 마이크로디그리와 융합전공으로 구성
- 체계적이고 융합적인 학문적 접근을 위한 방향을 제시해 주는 4차산업 대비 맞춤형 교육과정
- 최근 산업수요 및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창의ㆍ융합형 교육과정
- 학과 간 장벽을 넘어 최신의 학문 분야에 대한 다양한 학습경험 제공
1. 경찰행정학과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
1) 사이버 수사(Cyber Investigation) 전문과정
- 참여학과 : 경찰행정학과 / 컴퓨터소프트웨어공학과
- 주요 관련 교과목 : [경찰행정학과] 범죄인 프로파일링, 과학수사론, 국가정보학 / [컴퓨터소프트웨어공학과] Python 프로그래밍, 컴퓨터네트워크, 정보보호론
- 이수 기준 : 해당 과정을 신청한 후, 참여학과에서 개설한 관련 교과목 중 경찰행정학과 교과목 2개 이상 및 컴퓨터소프트웨어공학과 교과목 2개 이상 이수, 총 12학점 취득
- 사이버 수사 전문 교육과정의 이수 기준을 충족한 학생의 취득 사항은 성적표 및 졸업증명서에 "사이버 수사 전문 교육과정 수료" 표기
사이버공간은 우리에게 더 많은 기회와 혜택을 제공해 주고 있지만, 범죄와 테러, 네트워크를 둘러싼 국제 분쟁 등 새로운 도전과 위협에 직면하고 있음. 사이버 수사 전문 교육과정은 사이버테러, 해킹, 개인정보 유출 등 주요 사이버범죄의 최신 동향 파악하고,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는 연계 교육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사이버 수사 분야의 높은 이해도를 갖춘 인력을 양성하고자 함
2) 빅데이터 범죄분석(Big Data Crime Analysis) 전문과정
- 참여학과 : 경찰행정학과 / 산업경영빅데이터공학과
- 주요 관련 교과목 : [경찰행정학과] 범죄학방법론, 범죄통계학, 범죄학 / [산업경영빅데이터공학과] 빅데이터입문 및 실습,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 수료 방법 : 해당 과정을 신청한 후, 참여학과에서 개설한 관련 교과목 중 경찰행정학과 교과목 2개 이상 및 산업경영빅데이터공학과 교과목 2개 이상 이수, 총 12학점 취득
- 빅데이터 범죄분석 전문 교육과정의 이수 기준을 충족한 학생의 취득 사항은 성적표 및 졸업증명서에 "빅데이터 범죄분석 전문 교육과정 수료" 표기
현대사회에서 빅데이터는 현실에 대한 분석력과 대응력을 높여 미래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제고시킬 뿐만 아니라, 데이터에 기반한 객관적・과학적 접근방식을 통해 보다 나은 안전 사회로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게 함. 빅데이터 범죄분석 전문 교육과정을 통해 범죄예방이나 수사 등 사회안전망 확충 분야에서 높은 이해도를 갖춘 인력를 양성하고자 함
3) 과학수사(Forensic Science) 전문과정
- 참여학과 : 경찰행정학과 / 응용화학과
- 주요 관련 교과목 : [경찰행정학과] 범죄학, 범죄인 프로파일링, 과학수사론 / [응용화학과] 분석화학, 유기화학 Ⅰ, 생화학 Ⅱ
- 수료 방법 : 해당 과정을 신청한 후, 참여학과에서 개설한 관련 교과목 중 경찰행정학과 교과목 2개 이상 및 응용화학과 교과목 2개 이상 이수, 총 12학점 취득
- 과학수사 전문 교육과정의 이수 기준을 충족한 학생의 취득 사항은 성적표 및 졸업증명서에 "과학수사 전문 교육과정 수료" 표기
과학수사 전반에 걸친 기본 지식과 탐구 방법을 이론 및 실습교육을 통하여 기본 연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국가 및 지역 사회가 요구하는 특화된 과학수사 분야의 높은 이해도를 갖춘 인력을 양성하고자 함
4) 지역사회안전문제해결 전문과정
- 참여학과 : 경찰행정학과 / 소방방재행정학과 / 평생교육ㆍ청소년상담학과
- 주요 관련 교과목 : [경찰행정학과] 범죄인 프로파일링, 과학수사론 / [소방방재행정학과] 재난예방환경설계, 인명구조론 / [평생교육ㆍ청소년상담학과] 집단상담, 상담이론과 실제
- 수료 방법 : 해당 과정을 신청한 후, 참여학과에서 개설한 관련 교과목 중 4과목 이상 이수, 총 12학점 취득
- 지역사회안전문제 해결 전문 교육과정의 이수 기준을 충족한 학생의 취득 사항은 성적표 및 졸업증명서에 "지역사회안전문제 해결 전문 교육과정 수료" 표기
다양한 재난 위험 상황에 노출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위험 발생 이후 개인의 문제는 사회문제로 이어지지만, 개인의 문제 단계에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부족과 자원봉사자들의 역량에 한계가 있다는 필요성을 바탕으로 치안, 재난, 심리분야의 높은 이해도를 갖춘 인력을 양성하고자 함
5) 크라임 디펜더 메타버스(Crime Defender Metaverse) 전문과정
- 참여학과 : 경찰행정학과 / 게임공학과
- 주요 관련 교과목 : [경찰행정학과] 범죄인 프로파일링, 과학수사론, 범죄학 / [게임공학과] 게임엔진입문(Unity), 게임엔진개발(Unity), VR엔진입문(Unreal)
- 수료 방법 : 해당 과정을 신청한 후, 참여학과에서 개설한 관련 교과목 중 경찰행정학과 교과목 2개 이상 및 게임공학과 교과목 2개 이상을 이수, 총 12학점 취득
- 크라임 디펜더 메타버스 전문 교육과정의 이수 기준을 충족한 학생의 취득 사항은 성적표 및 졸업증명서에 "크라임 디펜더 메타버스(Crime Defender Metaverse) 전문 교육과정 수료" 표기
크라임 디펜더 메타버스 전문과정은 범죄 예방과 수사 기법을 게임 기반 학습으로 접근하며,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이론과 실습을 병행해서 운영하고자 함. 이를 통해 참여 학생들은 현대 범죄 대응 체계를 이해하고 게임 기술 활용 능력을 동시에 습득할 수 있어 범죄 예방 분야의 높은 이해도와 대응력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고자 함
6) 스마트 치안 로봇 활용(Robot utilization for smart policing) 전문과정
- 참여학과 : 경찰행정학과 / 로봇공학과
- 주요 관련 교과목 : [경찰행정학과] 범죄인 프로파일링, 과학수사론, 미래지향적 경찰활동 / [로봇공학과] 로봇공학개론, 3D프린팅, 마이크로로봇 제작 및 실습
- 수료 방법 : 해당 과정을 신청한 후, 참여학과에서 개설한 관련 교과목 중 경찰행정학과 교과목 2개 이상 및 로봇공학과 교과목 2개 이상을 이수, 총 12학점 취득
- 스마트 치안 로봇 활용 전문과정의 이수 기준을 충족한 학생의 취득 사항은 성적표 및 졸업증명서에 "스마트 치안 로봇 활용(Robot utilization for smart policing) 전문 교육과정 수료" 표기
스마트 치안 로봇 활용 전문과정은 스마트 로봇 기술을 기반으로 한 범죄 탐지, 대응 및 예방 능력을 배양하고, 위험 상황에서 로봇을 활용하여 경찰관의 생명 안전을 보장하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로봇 공학과 경찰학을 융합한 현장 적용 가능한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고자 함. 이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적 요구를 치안 및 범죄 예방 분야에 적용하여 공공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함
2. 경찰행정학과 융합전공
범죄심리상담학(Criminal Psychology Counseling) 전공
- 참여학과 : 경찰행정학과 / 평생교육ㆍ청소년상담학과
- 주요 관련 교과목 : [경찰행정학과] 범죄심리학, 범죄인 프로파일링, 여성범죄학, 범죄학방법론, 사회문제론, 범죄예방론, 청소년비행개론, 피해자학 / [평생교육ㆍ청소년상담학과] 상담심리학,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집단상담, 청소년문제, 범죄심리와 정신분석상담, 상담실습, 심리검사 이론과 실제, 트라우마 치료
- 수료 방법 : 경찰행정학과(주전공) 재학생의 경우, 1학년 과정을 이수하고 해당 과정을 신청한 후 융합전공 이수를 위한 주전공 전공학점은 36학점 이상으로 하되, 학과별 전공과목을 각각 12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함. 주전공에서 이수한 교과목이 융합전공 교과목과 동일할 때에는 최대 6학점까지 융합전공 학점으로 인정하며, 주전공의 전공학점에는 포함하지 않음. 주전공 및 융합전공의 졸업논문 또는 그와 동등한 심사를 각각 통과하여야 함
- 범죄심리상담학 전공의 이수 기준을 충족한 학생은 주전공과 융합전공의 학위를 동시에 수여함 ※ 경찰행정학과의 경우, 경찰학 학사(주전공 학위), 범죄심리상담학 학사(융합전공 학위) 수여
경찰학, 범죄학, 교육학, 상담학의 융합을 통해 경찰 및 범죄와 관련된 심리적 문제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대처하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범죄를 예방하고 피해자 및 가해자 상담을 통한 재범 방지 및 사회적 안정 기여하기 위해 융합전공을 개설함. 이를 통해 학문적 지식을 현장 실무와 연결하여 경찰학, 범죄학, 심리상담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