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Ⅰ(General Chemistry Ⅰ) 화학전반에 관한 기본개념과 이론을 소개하고 물질구조와 성질의 관계를 이해한다. 물질의 변환을 통한 새로운 물질의 창조과정을 연구하는 기초과학으로서의 화학을 소개한다. 화학의 보편적인 기초지식을 쉽게 이해시키고 강의하며, 물체의 분류 및 성질, 원자론과 화학결합론, 화합물의 구조, 화학양론, 기체상태와 액체의 성질 등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일반화학 Ⅱ 및 실험 (General Chemistry Ⅱ & Laboratory) 일반화학 I에서 배운 화학의 기본 개념과 관련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심화된 화학을 소개한다. 물질의 구조와 성질관계의 이해를 기반으로 산과 염기, 전기화학, 핵화학, 대기화학, 유기 및 전이금속 화학 등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룬다. 또한 일반화학의 기본개념과 이론을 경험적으로 익히기 위한 것으로, 실제적인 실험을 통해서 화학의 이론이 어떻게 적용되고, 실험결과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배우고 경험해 봄으로써 과학적인 사고방법을 익히고 실험 경험을 축적한다.
기초수리물리 (Fundamental Mathematics and Physics) 고분자소재공학을 전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적인 수학적 개념과 물리학의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함수, 삼각비, 지수로그, 확률통계, 기하, 벡터, 미적분학의 기초개념과 뉴턴의 운동법칙을 포함한 고전역학, 열역학, 전자기학, 광학 및 현대물리학의 기초적 개념을 포함한다.
2학년
나노기술개론(Introduction to Nanotechnology)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 분야 중 하나인 NT(나노기술)의 과거와 현재의 정의와 나노물성, 나노화학, 나노탄소,나노물질, 나노바이오, 나노제조법 등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현대 나노과학기술에 대한 기초지식을 배운다.
고분자나노공학개론 (Introduction to Polymer Nanoengineering) 고분자의 입문과목으로서 고분자재료의 기본원리, 합성, 물성, 가공 개념을 개괄적으로 학습하고, 고분자의 기초적인 응용 분야에 대해 학습하여 심화된 전공지식의 기초를 다진다.
유기화학 Ⅰ (Organic chemistry Ⅰ) 유기화학물의 결합, 구조와 성질, 반응 메커니즘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작용기에 따른 유기화합물의 성질과 화학반응을 심도 있게 탐구하고, 유기물질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인 화학 분석방법을 배운다.
유기화학 Ⅱ (Organic chemistry Ⅱ) 유기화학물의 결합, 구조와 성질, 반응 메커니즘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작용기에 따른 유기화합물의 성질과 화학반응을 심도 있게 탐구하고, 유기물질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인 화학 분석방법을 배운다.
전공선택
물리화학 I, II (Physical chemistry I, II) 화학의 기본 이론, 법칙 및 원리를 수리적으로 체계화시키고 기본식의 유도 및 물리적인 의미 및 그 응용에 대하여 학습한다.
전기화학(Basic Electrochemistry) 전기화학에서 화학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 간의 상호변환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과 전기화학 전지의 역사와 반응 메커니즘 이론과 그리고 전기화학기법을 활용하고 있는 기술에 대하여 배운다.
분석화학(Analytical Chemistry) 화학분석에 기본개념인 몰, 농도의 개념 등을 정립하고 분석기기의 활용방법, 화학실험을 통하여 얻은 데이터와 관련한 오차분석법, 통계처리방식, 검량선 작성법 등의 분석화학의 기초적인 사항들을 학습한다.
재료과학개론 (Introduction to Materials Science) 세라믹 및 금속 재료의 기본적인 구조, 물성 및 제조공법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습득한다. 화학결합, 결정구조 및 결함 등의 내부구조와 재료의 기계적, 물리적, 열적 특성이 등과의 상관관계를 다룬다.
유기화학실험 (Organic Chemistry Laboratory) 유기화학에서 배운 여러가지 유기합성의 실험방법을 익힌다. 시약의 준비, 합성 셋업, 정제, 합성의 확인 등 유기화학 합성 실험의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다.
탄소나노재료 (Carbon nanomaterials) 탄소 원소의 화학적 이론과 탄소재료의 역사, 종류, 화학적 구조 특성, 물성과 용도, 그리고 나노소재, 에너지소재, 고강도 소재 등 첨단소재로의 활용분야에 대하여 학습한다.
기기분석 (Instrumental Analysis) 소재의 다양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 분석기기들에 대한 이론적 원리와 방법, 그리고 적용사례를 학습한다.
나노유무기소재 (Organic-Inorganic Hybrid Nanomaterials) 다양한 유기 및 무기소재의 특성을 이해하고 나노 유기-무기 혼성화합물의 제조와 특성에 대해 학습한다. 그리고 이러한 소재의 다양한 응용성에 대해 다룬다.
고분자가공실습 (Polymer Processing Practice) 고분자재료의 형상구현을 위한 다양한 가공방법을 학습하고 실제 가공공정을 실습한다. 고분자소재의 가공을 통해 섬유상, 필름, 코팅막, 각종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고분자소재의 가공에 관한 소재의 선택, 컴파운딩, 성형공정의 전과정을 학습한다.
고분자합성 Ⅰ, Ⅱ (Polymer Synthesis Ⅰ, Ⅱ) 고분자를 합성을 위한 고분자화학의 제반 지식을 다룬다. 고분자화학의 원리, 라디칼, 축합, 이온 중합 등의 다양한 중합 방법과 반응메커니즘, 중합의 평형과 속도, 고분자의 물리화학적 분석법에 대해 학습한다.
고분자 실험 (Polymer Laboratory) 고분자를 중합하는 여러가지 중합 실험방법을 습득하고, 합성된 고분자를 분석하는 분광법을 익힌다. 또한 고분자의 여러가지 물리화학적, 기계적, 열적 특성을 기초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실제적으로 실험을 통해 분석 및 평가해 본다.
정보전자소재 (Information and Electronic Materials) 유기 및 고분자소재에 관한 기본전공교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도성 유기고분자 소재의 특성과 응용에 대해 학습한다. 전도성소재의 합성과 특성을 포함한 실제 산업적 활용에 대해 체계적으로 배우고, 전기전자 공학기술과의 융합에 의한 산업기술 활용에 대해 학습한다.
고분자 물성 Ⅰ, Ⅱ (Polymer Property Ⅰ, Ⅱ) 고분자의 분자량, 열전이, 형태학, 열역학, 기계적 성질, 점도, 점탄성 거동 등의 물성을 다루며 고분자의 화학구조와 물성 간의 상관 관계를 탐구해 본다.
기능성박막소재 (Functional thin film materials) 다양한 고분자소재의 코팅 및 박막소재의 제조와 특성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다양한 박막소재의 응용성과 응용분야에 대해 학습한다.
3D 프린팅 소재 (3D Printing materials) 3D 프린팅 기술은 기존의 제조방식과 전혀 다른 혁신적인 제조기술로서 탑다운방식이 아닌 바텀업 방식으로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제작할 수 있다. 본 교과목은 3D 프린팅의 역사와 기초원리, 그리고 3D 프린팅용 고분자 소재에 대하여 학습하고, 향후 3D 프린팅 산업전망에 대해서 알아본다.
플라스틱나노공학 (Plastic Nanoengineering)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범용성 플라스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공업적 제조방법과 특성 그리고 산업적 활용에 대하여 학습한다.
고분자공정 (Polymer Processing) 고분자 및 유기물 기능소재 분야 산업현장의 실무적인 최신소재가공기술과 공정에 대해 배운다. 제조현장의 공정기술과 전공이론지식의 관련성을 이해한다. 본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유기 및 고분자소재가공 및 공정의 현장실무능력을 배양한다.
캡스톤디자인 Ⅰ, Ⅱ (Capstone Design Ⅰ, Ⅱ) 고분자소재공학에서 재료설계와 응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팀구성원들이 협력하여 기존의 지식들을 활용하고,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팀구성원들은 설계의 필요조건에 맞추어 시스템, 요소, 공정 등의 과정을 전 학년에 걸쳐 배운 지식을 동원하여 최적의 설계를 수행한다.
전지소재 (Battery materials) 리튬 이차 전지의 기반 물질인 리튬을 비롯한 무기산화물, 전해질, 활성탄소와 리튬 이온 전지의 안정성에 관련된 고분자물질에 대해 알아보고, 각 물질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고분자 소재를 기반으로 소재 종류, 특성, 제조법 등에 대하여 배운다.
반도체 후공정 소재 (Semiconductor packaging materials) 전공정을 통해 완성된 반도체 칩은 반도체 후공정을 통해서 칩 패키징 및 테스트 과정을 거치게 된다. 반도체 패키지의 종류, 제조공정 및 패키지에 사용되는 고분자 소재를 학습한다
광식각공정 및 기초실험 (Photolithographic process & basic experimental) 반도체의 기본원리와 제조공정 기초지식과 함께 반도체 칩에 새겨진 미세패턴을 형성시키는 광식각공정 기술에 대하여 배우고,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여 광식각공정으로 패턴형성하는 과정을 습득하고, 형성된 패턴을 관찰하는 등 기초적인 실험을 실시해 본다.
고분자복합재료(Polymer Composite Materials) 고분자 복합소재의 종류, 특성, 제조법을 알아본다. 또한 기초와 미세구조와 성질 간의 관계를 학습하고 다양한 응용기술을 소개한다.
에너지소재 (Energy Materials) 각종 에너지 변환 및 저장 시스템에 사용되는 유기고분자 재료 및 복합소재에 대하여 다른다. 특히 태양전지, 연료전지,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하베스팅 등의 소재에 관하여 학습한다.
화장품나노소재공학 (Cosmetic nanomaterials Engineering) 화장품의 소재, 제형, 제조 원리등 화장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화장품 내에서의 고분자 소재의 역할 및 중요성을 이해한다.
나노계면화학 (Nanointerfacial chemistry) 자연 속의 계면현상을 이해하고 그 원리를 알아내어 실제 생활이나 산업현장에 이용하고자 한다. 물리화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화합물 및 소재에 대해 나노 스케일부터 마크로 스케일에서 계면간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해 학습한다. 한편 이러한 특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재합성 및 응용에 대해 다룬다.